투표는 민주주의의 꽃이자 국민의 소중한 권리입니다. 특히 사전투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마련된 편리한 제도입니다. 다가오는 2025년 5월 29일(목)부터 5월 30일(금)까지 제21대 대통령선거의 사전투표가 진행됩니다. 사전투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소중한 권리를 꼭 행사하세요!
🗓️ 사전투표 기간 및 시간 안내
사전투표는 선거일(2025년 6월 3일 화요일) 이전에 미리 투표하는 제도로, 전국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습니다.
- 기간: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시간: 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총 12시간 동안 진행)
📍 가까운 사전투표소 확인하기
사전투표는 선거 당일과 달리 유권자의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의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 투표소 확인: 가까운 사전투표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www.nec.go.kr) 또는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사전투표소 찾기'를 검색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국 읍·면·동마다 1개소 이상 설치됩니다.
🙋♀️ 사전투표 준비물: 반드시 신분증을 챙기세요!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유효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할 수 없으니 꼭 챙겨주세요.
- 주요 유효 신분증: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장애인등록증
- 청소년증
- 각급 학교 학생증 (사진이 부착된 것)
-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명서 (생년월일이 기재된 것)
- 모바일 신분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모바일 국가자격증, PASS 앱 등 모바일 신분증도 유효합니다. 다만, 캡처된 이미지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투표사무원에게 앱을 실행하여 직접 보여줘야 합니다.
🗳️ 사전투표 절차: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
사전투표는 유권자의 주소지가 해당 투표소의 관할 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으로 구분되며, 투표 절차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투표소 도착 및 신분증 제시
어느 사전투표소든 방문하여 투표사무원에게 신분증을 제시하고 본인 여부를 확인받습니다.
2. 본인 확인 및 서명/손도장
본인 확인기에 비치된 서명 패드에 손도장을 찍거나 직접 서명하여 본인 확인을 완료합니다.
3. 투표용지 수령 및 투표
유권자의 주소지에 따라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 📌 관내선거인 (해당 구·시·군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
- 투표용지만 수령합니다.
- 기표소에 들어가 비치된 기표용구로 투표용지에 기표합니다.
- 기표한 투표용지가 보이지 않도록 접어서 '관내투표함'에 투입합니다.
- 📌 관외선거인 (해당 구·시·군 관할구역 밖에 주소를 둔 유권자)
- 투표용지와 회송용 우편봉투를 함께 수령합니다.
- 기표소에 들어가 비치된 기표용구로 투표용지에 기표합니다.
- 기표한 투표용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한 후, '관외투표함'에 투입합니다. (관외사전투표지는 우체국을 통해 유권자의 주소지 관할 선거관리위원회로 등기우편 발송됩니다.)
✅ 투표 시 중요 유의사항
소중한 한 표가 무효표가 되지 않도록 다음 사항들을 꼭 지켜주세요.
- 기표소 내에 비치된 기표 용구만을 사용하여 기표해야 합니다.
- 투표용지에는 한 번만 기표해야 합니다.
- 기표 용구를 사용하여 네모 칸 안에 정확히 찍어야 합니다.
- 투표소 안에서 사진을 찍는 행위는 엄격히 금지됩니다.
-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행위는 선거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사전투표는 국민의 주권을 행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위에 안내된 준비물과 절차를 미리 확인하시고, 정해진 기간 내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투표에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문의해 보세요.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해군 초계기 추락, 비극적 사고의 전말과 해상 작전 역량 강화의 중요성 (1) | 2025.05.29 |
---|---|
이준석 후보, 여성 신체 관련 발언으로 '성차별 논란' 점화 (1) | 2025.05.29 |
이낙연-김문수, 예상 밖 '반(反)이재명' 연대 전격 선언: 대선판 뒤흔든 막판 변수 (3) | 2025.05.28 |
트럼프 행정부, 하버드대 유학생 비자 취소 시도…법원 제동 (0) | 2025.05.28 |
서울 버스 파업 2025: 시민의 발 멈추다 – 원인, 대응, 그리고 향후 전망 (1) | 2025.05.28 |